드라마 PD는 기본적으로
허구의 상황을 활자 언어로 기록한 드라마 대본에 입각하여
영상 언어를 재생산하는 일을 하므로 여타의 피디들에 비해 글쓰기가
더 중요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예능피디 준비생이 글을 좀 못 써도 그러려니 할 수 있어도
드라마PD 준비생은 그보다 훨씬 더 잘 써야 할 거 같다는 생각은
나만 하는 게 아닐 거다.
근데 글을 잘 써야 한다는 건 알지만, 글을 쓰는 게 어디 쉽나.
정해진 답을 잘 외우면 고득점이 가능했던 수능 시절의 공부법과는 확연히 다르다.
수능 공부할 땐 교과서, 문제집을 펼치면 되었다.
글을 써낼 때는 교과서에 기댈 수도 문제집에 기댈 수도 없다.
그저 자신의 빈약한 대가리 하나 믿고 백지의 종이(사실 대부분 허연 워드프로세서)를 바라보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창의성이란 없는 걸을 만들어내는 힘이다.
창의적 직업을 갖겠다는 것은 없는 걸 만들어내는 삶을 살겠다는 거다.
이깟 종이 하나 못 채울 수준이라면, PD라는 창의적인 직업을 갖겠다는 것은
망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채 드라마PD. 우리나라에 몇이나 있을까?
의사보단 분명히 적을 것이다.
검사보다도 적을 거 같다.
아무튼 엄청 희귀한 직업인 게 틀림없다.
그런 직업을 갖겠다는 사람이라면 최소한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막힘없이 술술 재밌게 썰을 풀어야 하는 거 아닐까?
<공채 드라마 PD 지망생이 대답해보면 좋을 법한, 쓰잘데기 없어 보이는 질문들>
1. 드라마틱하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가?
2. CCTV에 찍힌 영상도 엄연히 영상인데, 왜 그건 드라마가 될 수 없을까?
3. 영화와 드라마의 경계가 허물어져 가고 있는데, 그 현실의 근간엔 어떠한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가 있는 걸까?
4. 플롯이란 무엇인가? 장르란 무엇인가?
5. 드라마PD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6. 클리셰덩어리인 드라마를 만들고 싶은 드라마PD는 없을 텐데, 왜 이렇게나 많은 드라마들이 서로 비슷해져 가는 것일까?
7. 사람들이 그게 분명 허구인 걸 알고 보는 것임에도 왜 드라마를 볼 때 그 이야기의 '리얼리티'가 충족되지 않으면 비난하는 것일까?
8. 장르의 클리셰를 극복한 드라마 한 작품을 소개한다면?
이에 대한 나름의 답을 적어놓은 책들이 분명 도서관 어딘가에 있을 거다.
챗GPT에게 잘 물어보면 대답을 해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기 스스로 백지를 채우는 것은 또다른 의미이다.
갑자기 좋은 작문을 써내는 게 아니다.
별안간 기가 막힌 드라마 기획안을 만들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운이 억세게 틔여 면접 때 좋은 대답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건 그저 겉에 드러나는 빙산의 일각이다.
그 근간엔 튼실한 자기 인싸이트가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그러한 인싸이트는 어찌 보면 아무짝에도 쓸모없어 보이는
저러한 셀프 질문과 셀프 대답에서 피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셀프문답을 글로 써봐야만 해당 정보는
의미 있게 자기 자신의 빈약했던 대가리(!!!)에 기록되어
진정한 자신의 창작 근육으로 작동한다,
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니 엄빠께서 보셨을 땐 제가 대체 뭐가 되려나, 싶은 일에 대해
깊이 사색해보고 그걸 글로 써보는 걸 나는 추천한다.
사실 이게 꼭 드라마PD에게만 적용될까.
창작과 창의성 관련한 모든 일들도 그러할 것 같다.
공채 드라마 PD 지망생이 대답해보면 좋을 법한, 쓰잘데기 없어 보이는 질문들 ㅣ 작문, 기획안, 면접 대비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예 대비가 안 될 리는 없는 대답들